거실 한쪽 벽엔 꽃무늬 벽지로 포인트, TV가 걸리는 벽은 아트월(장식벽), 안방은 앤티크 벽지,

 

아이 방엔 띠벽, 최근 수년간의 아파트 인테리어 공식입니다.

 

 이랬던 아파트가 변하고 있습니다. ‘예쁜 집’, ’ 화려한 집’ 대신 ‘집다운 집’,‘편안한 집‘이 새로운 아파트

 

 인테리어의 화두로 등장했습니다.

 

‘집에는 공허를 즐기는 표시가 나타난다.‘는 작가 알랭 드 보통의 표현대로 아파트에도 여유가 스며들기 시작했습니다.

 

◆ 색깔 지운 벽, 변신하는 천장

 

그 사이 인테리어의 주력 공간은 벽이었습니다.

 

현란한 벽지와 아트월, 포인트월은 인테리어의 필수요건처럼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무늬 없는 베이지나 흰색계열의 벽지로 화려한 색깔을 배제합니다.

 

대신 천장이 새롭게 주목 받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천장을 장식하는 유일한 수단은 조명이었습니다. 이젠 천장 자체가 바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거실 천장에서 조명을 다는 부분이 조금 패여있는데 이를 ‘우물천장’ 이라고 합니다.

 

 이 우물천장을 넓게 만들어 천장을 높이는 게 최근 추세입니다.

 

대개 아파트 천장 높이는 2m 30cm ~ 2m 40cm인데 10cm내외의 깊이인 우물천장을 확장하기 때문에 높아 보이는 효과

 

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광천장도 새로운 시도. 광천장이란 마감전에 조명을 넣고 바리솔이나 반투명 플라스틱 판넬로 덮어 천장자체가 빛이 

 

나는 방식입니다.

 

◆ 서까래 스타일 지붕, 미닫이문‥, ‘한국식’ 을 심다

 

아파트는 서구에서 온 양식이지만 이제는 한국인 70%이상이 사는 한국 주거의 대명사가 됐습니다.

 

그러나 ‘한국적인 아파트‘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던게 사실입니다.

 

이런 자성과 여백을 강조하는 최근 디자인 경향이 맞물려 ‘한국적 아파트‘만들기 붐이 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