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전페이지로
  • 리스트

고객지원

건축정보

  • 작성일 작성일 : 2014-09-30 / 조회 : 3,588

[집관리정보] 열매가 아름다운 상록수 Ⅴ

 글쓴이 : 운영자

자연을 짓습니다. >한마음

。.。.。.。.。.。.。.。.。
열매가 아름다운 상록수 Ⅴ
。.。.。.。.。.。.。.。.。

『 광 나 무』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수로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길이 5~12㎝의 복총상화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꽃부리는 길이 5~6㎜이다.
길이 7~10㎜ 정도의 열매는 핵과로 타운형 또는 난원형이며
10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번식은 실생과 꺾꽂이로 한다.

난대수종이지만 내한력이 꽤 강하여 대부분의 남부 지방과
겨울이 따뜻한 일부 중부지방에서도 식재가 가능하다.
원래 3~5m정도까지 자라는 소교목이지만 흔히 관목상으로 가꾼다.
가지와 잎이 무성하게 자라며 전정에 강하고
대기 오염과 해풍에도 잘 견디므로,
도시나 해안 지방의 차폐·생울타리·방풍용으로 좋다.
ˇ  ̄ ˇ  ̄ ˇ ̄ ˇ  ̄ ˇ  ̄ ˇ  ̄ ˇ  ̄ ˇ  ̄ ˇ
『 굴 거 리 나 무』




대극과에 속하는 추위에 약한 난대 수종.
제주도 한라산에 많으며 남해안과 섬 지방에도 분포한다.
상록의 큰 잎과 정연한 수형이 일품인 암수딴그루다.
4~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발생하는 총상화서에
황록색의 꽃이 피지만, 너무 작아 관상 가치는 거의 없다.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이며 직경이 약 1㎝ 정도다.
포도송이처럼 모여 달리는데 가을에 흑자색으로 익으면
아름답기 그지없다.

산지 숲속에서 자라는 음수이지만 양지에서도 잘 적응하며,
대체로 적당항 습기를 가진 양토에서 잘 자란다.
공중 습도가 높은 환경을 좋아하고, 번식은 실생으로 한다.
추위에 약하므로 남부 지방이 재식 적지이며,
중부지방은 겨울이 특히 온난한 해안 지방에 한해 심을 수 있다.

잎이 아름답고 수형이 좋으나, 성장이 느리고 나무가 크게 자라지는 않아
비교적 좁은 뜰의 장식수나 주목으로 많이 식재한다.
독립수로 심거나 몇그루씩 점식해도 보기 좋으며,
건물의 북쪽 등에 심어도 잘 적응한다.

잎이 넓고 수분 함량이 많으므로 방화수로도 유용하다.
ˇ  ̄ ˇ  ̄ ˇ ̄ ˇ  ̄ ˇ  ̄ ˇ  ̄ ˇ  ̄ ˇ  ̄ ˇ
『  남 오 미 자 』




오미자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 덩굴식물.
전남과 경남의 해안 및 섬 지방과 제주도 등의 숲 속에 자생한다.
상록의 잎이 매력적이고 봄부터 여름 사이에 피는 황백색의 꽃도 아름답다.

열매는 9월에 적색으로 익는데, 장과로 공 모양의 작은 열매가
모여 달려 매우 아름답다. 오미자 열매처럼 약용으로도 이용된다.

다른나무의 줄기를 타고 오르는 덩굴식물로,
난대 수종이어서 추위에 약하며 반음지에서 잘 자란다.
내한력은 마삭줄이나 멀꿀보다 더 약한 편이며,
추운 곳에서는 월동하더라도 겨울에 낙엽이 지기도 한다.

번식은 실생과 삽목 및 휘묻이로 하는데, 특히 삽목으로 뿌리가 잘 내린다.
일반 정원수로 보다는 파고라나 펜스용 덩굴, 절개지 녹화 등에 이용하면 좋다.

상록의 잎 외에도 꽃, 열매 등이 모두 아름다우므로
화분에 심어 가꿀만하며, 실제로 일본에서는
분재 소재로 많이 이용된다.




(출저:전원속의내집)
。.。.。.。.。.。.。.。.。

자연을 짓습니다、>한마음​ 

목조주택〃전원주택〃ANC주택〃철근콘크리트주택
패시브하우스〃제로하우스☆ 전문시공